[야구 stat] Pitching Stat(투구 관련 스탯 용어)
카테고리: Baseball
💡 매체에서 다루는 야구 용어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더 깊이 배울 필요가 큽니다. 미국은 야구 종주국이자 선진국이기에, MLB, Baseball Savant 등 미국 야구 사이트에서 관련 용어들을 영어로 공부한 기록입니다.
Pitching Stat
Standard Stats
-
Appearance(App)
등판 - Balk(BK)
주자가 있는 경우 투수가 부정 동작을 취하는 경우 주어짐. 주자는 한 루씩 진루.
만약, 투수가 보크를 범했을 때 타자가 그 공을 쳐서 아웃이 된 경우 그 플레이는 취소되고 주자만 진루하지만, 공을 쳐서 공격 팀에 유리한 결과를 낳았다면 그 플레이는 유효한 것으로 인정됨.
보크를 범했을 때 볼넷이나 hit-by-pitch를 내준 경우, 주자가 모두 포스 상태라면 보크가 취소되고 타자와 주자 모두 진루하지만, 포스 상태가 아닌 주자가 하나라도 있으면 주자만 진루한다.‘KBO 공식야구규칙’에서 정한 보크 규정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투구 동작을 일으키다가 투구를 중지했을 경우 ⇒자유발이 몸 중심을 넘어갔는데 갑자기 견제를 하거나, 자유발을 올렸다가 다시 내린다거나.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1루 또는 3루에 송구하는 시늉만 하고 실제로 송구하지 않은 경우 ⇒ 중심발을 투수판 뒤쪽으로 빼고 시늉만 하는 것은 허용됨.
- 투수판을 딛고 있는 투수가 베이스에 송구하기 전에 발을 똑바로 그 베이스 쪽으로 내딛지 않았을 경우 ⇒ 이 기준을 투구판에서 45도로 봄.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주자가 없는 베이스에 송구하거나 송구하는 시늉을 하였을 경우 ⇒ 단, 주자 1루때 도루 방지 목적으로 2루 방향으로 발을 올바르게 내딛어 던진 경우는 보크가 아님.
- 투수가 반칙투구를 하는 경우 ⇒ quick pitch는 반칙투구이다. 타자가 아직 충분한 자세를 갖추지 않았을 때 투구하면 quick pitch에 해당
- 투수가 타자를 정면으로 보지 않고 투구했을 경우
- 투수가 투수판을 밟지 않고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취하였을 경우 ⇒ 투수가 투수판을 양 발 사이에 두고 스트레치를 시작하였으나 공을 떨어트렸을 경우 보크.
- 투수가 불필요하게 경기를 지연시켰을 경우
- 투수가 공을 갖지 않고 투수판을 밟거나 걸터섰을 경우 또는 투수판에서 떨어져 투구에 관련된 시늉을 했을 경우
- 투수가 정규의 투구자세를 취한 후 실제로 투구하거나 베이스에 송구하지 않고 공에서 한쪽 손을 떼었을 경우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고의 여부와 관계없이 공을 떨어뜨렸을 경우
- 투수가 세트 포지션으로 투구할 때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투구하였을 경우
in a call: “free advancement”
-
Blown Save
세이브 상황에서 구원등판한 투수가 동점 혹은 역전을 허용한 경우.
승계주자를 불러들인 경우 블론세이브는 기록되고, 자책점으로 기록되진 않음.
실책으로 주자를 불러들인 경우에도 블론세이브로 기록.
즉, 실점이 명백하게 투수의 책임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블론세이브가 기록될 수 있다는 것.
KBO는 7회부터, MLB는 세이브나 홀드 상황이라면 언제든 블론세이브가 기록될 수 있음.
in a call: “saves lost” -
Complete Game(CG)
완투. 강우콜드나 연장의 경우에서도 그 팀에서 한 투수만 던졌다면 그 투수의 완투
in a call: “goes the distance” -
Earned Run Average(ERA)
평균자책점 -
Flyout
뜬공 아웃.
in a call: “can of corn” “pop-up” “pop out” -
Groundout
땅볼 아웃
in a call: “chopper” “bouncer” -
Hold(HLD)
세이브 상황(3점차 이하 리드)에서 구원등판한 투수가 리드를 이어간 상태에서 다음 투수에게 넘겨주는 경우 홀드 적립. -
Inherited Runner(IR)
승계주자
in a call: “mess to clean up” -
Innings Pitched(IP)
투수가 소화한 이닝
in a call: “innings” “frame” -
Pickoff(PK)
투구 전에 투수가 야수에게 공을 던져서 야수가 put out이나 assist를 따낸 경우, 즉 견제사를 만든 경우
pickoff attempt를 하는 데에는 주자를 견제하는 목적 외에도 불펜 투수를 warm up시키거나, 타자의 번트 동작을 체크해보는 목적도 있다.
in a call: “nabbed” “caught off the base” “caught napping” -
Quality Start(QS)
6이닝 이상을 투구하고 3자책점 이하를 내줄 경우 -
Save(SV)
세이브의 조건. Save Opportunity(SVO)라 부름.- 팀이 이긴 경기를 마무리한 경우
- 승리투수의 기록을 얻지 못한 경우
- 최소 한 개의 아웃카운트를 잡고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한 경우
- 3점 이하의 리드를 할 때 1이닝 이상 투구할 경우
- 최소 3이닝을 효과적으로 투구했을 경우
- 아웃카운트에 상관없이 주자, 상대하는 타자, 그 다음타자가 모두 득점하면 동점 또는 역전이 되는 경우(이런 경우엔 아웃카운트 하나만 잡아도 세이브)
*4:3 상황에 8회말 2사 만루 세이브 요건에 구원 투수가 올라와 무실점으로 막고 9회초에 득점을 하여 점수가 5:3 이 되든 10:3이 되건 세이브는 성립하고, 그 투수가 9회말에 대량 실점을 허용해도 동점이나 역전을 당하지 않고 끝까지 던져서 팀이 이길 경우 세이브로 인정
-
Save Percentage(SV%)
세이브 횟수를 Save Opportunity로 나눈 값. -
Shutout(SHO)
완봉
in a call: “blanking” “blanked” “held scoreless” -
Unearned Run(UER)
수비 실책이나 passed ball로 실점한 점수. 즉, 비자책점.
in a call: “cheapie” -
Walks and Hits Per Inning Pitched(WHIP)
투수가 내준 볼넷+안타를 투수가 던진 이닝으로 나눈 값. 즉, 이닝당 출루허용률. 야수선택이나 실책은 산입되지 않음. 그러나 볼넷 한 개와 홈런 한 개도 동일하게 출루 하나로 보기 때문에 공평한 지표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음. -
Wild Pitch(WP)
Passed Ball이 포수의 실책이라면, Wild Pitch는 투수가 포수가 잡을 수 없는 위치로 던진 경우임. 보통 바운드볼이 되거나 포수 글러브가 닿지 못한 곳에 투구하면 Wild Pitch로 기록. - Winning Percentage(WPCT)
승률. 승 수를 ‘승+패’ 수로 나눈 값.
Advanced Stats
-
Adjusted Earned Run Average(ERA+)
한 투수의 ERA를 리그 전체 수준으로 정규화 시킨 것. ERA+100은 리그 평균을 의미하며, 150은 리그 평균보다 50%만큼 뛰어남을 의미한다.
formula = 리그ERA(파크팩터 조정 값) * 100 / ERA
-
Baserunners Per Nine Innings(MB/9)
투수의 9이닝당 허용 주자 수. 실책이나 야수 선택으로 허용한 주자는 계산하지 않는다. -
Bequeathed Runners(BQR)
승계 주자. 투수가 베이스에 남기고 간 주자.
In a call: “inherited runners” -
Bequeathed Runners Scored(BQR-S)
한 투수의 승계주자 득점 합계(relief pitcher가 아니라 departed pitcher) -
Expected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xFIP)
xFIP는 기본적으로 FIP와 계산 방법이 같은데, 한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FIP 식에서 실제 피홈런 숫자를 넣는 대신 고정된 HR/FB(리그 평균 플라이볼 대비 홈런)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된 이론적 피홈런 숫자를 넣는 것이다.이렇게 하는 이유는 볼넷과 삼진, 사사구는 투수의 능력에 의한 것이지만, 피홈런의 경우 “운”과 “구장 효과”가 많이 작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보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R/FB 비율은 0.11이 이용된다. 투수의 능력 이외의 요소가 작용하는 부분을 제거하고자 함에 있어서, FIP보다도 더욱 철저한 스탯이라고 할 수 있다.
formula = ((Fly balls / league average rate of HR per fly ball x 13) + (3 x (BB + HBP)) - (2 x K)) / IP + FIP constant
-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FIP)
수비 무관 투구 기록. 투수가 통제 가능한 삼진, 사사구, 홈런만을 이용한 지표.
그러나 이 지표는 투수가 어느 정도 타구의 질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과 맞혀잡는 유형의 투수가 있다는 점을 간과했단 비판을 받는다.
formula: ((HR x 13) + (3 x (BB + HBP)) - (2 x K)) / IP + FIP constant
이 때 FIP constant란 FIP를 ERA과 유사한 스케일로 만들기 위한 상수이다.
FIP constant = (9lgER + 2lgK - 13lgHR - 3(lgBB-lgIBB+lgHBP)) / lgIP -
Fly-ball Rate(FB%)
인필드 타구 중 외야뜬공의 비율. 인필드 타구는 라인드라이브, 외야뜬공, 내야뜬공(pop-up), 땅볼로 나뉜다. -
Game Score
선발투수의 역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0~100의 값을 가진다.
50은 평균 수준이고 40은 대체선수 레벨(replacement level)로 분류되며 8,90대는 뛰어난 수준으로 분류된다.Game Score formula (updated by Tom Tango)
- 시작은 40포인트부터
- 아웃카운트 하나당 2포인트 추가
- 삼진 하나당 1포인트 추가
- 볼넷, 사구 허용시 2포인트 삭제
- 안타 하나당 2포인트 삭제
- 득점 허용시 3포인트 삭제(자책이든 비자책이든)
- 홈런 허용시 6포인트 삭제
-
Ground-ball Rate(GB%)
인필드 타구 중 땅볼의 비율. 인필드 타구는 라인드라이브, 외야뜬공, 내야뜬공(pop-up), 땅볼로 나뉜다. -
Hits Per Nine Innings(H/9)
투수의 9이닝당 피안타 수 -
Home Runs Per Nine Innings(HR/9)
투수의 9이닝당 피홈런 수 -
Home Run To Fly Ball Rate
-
Inherited Runs Allowed(IR-A)
구원투수(relief pitcher)가 승계주자를 득점시킨 수. 당연히 구원투수의 ERA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
Inherited Runs Allowed Percentage(IR-A%)
formula = IR-A / IR
수. 즉, 구원투수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승계주자를 틀어막았는지 보여줌. -
Innings Per Start(I/GS)
선발투수의 평균 투구 이닝 -
Leverage Index(LI)
경기 중 특정 순간이 승패에 미치는 중요도를 수치화한 것. 평균적인 상황을 1.0으로 둔다. 만약 3점차로 뒤지는 2사만루라면, 한 방으로 경기를 뒤집을 수 있으므로 LI는 1.0을 넘어간다.
아래 링크는 상황별 LI를 표로 보여준다.
Leverage Index (LI) -
Line-drive Rate(LD%)
인필드 타구 중 라인드라이브의 비율. 인필드 타구는 라인드라이브, 외야뜬공, 내야뜬공(pop-up), 땅볼로 나뉜다. -
Pitches Per Inning Pitched(P/IP)
이닝당 투구 수. 이상적인 P/IP는 15개 이하이다. -
Pitches Per Start(P/GS)
선발등판에서 한 경기당 평균 투구 수. -
Pop-up Rate(PO%)
인필드 타구 중 내야 뜬공의 비율. 인필드 타구는 라인드라이브, 외야뜬공, 내야뜬공(pop-up), 땅볼로 나뉜다. -
Run Support Per Nine Innings(RS/9)
9이닝당 타선의 득점 지원률. -
Runs Allowed Per Nine Innings Pitched(RA9)
9이닝당 허용한 실점. 자책점이 아니라 실점 전체를 계산. -
Skill-interactive Earned Run Average(SIERA)
투수가 통제할 수 없는 요소를 최소화한 지표이다. xFIP가 인플레이 타구를 모두 배제했다면, SIERA는 인플레이 타구에 가중치를 매겨 계산에 포함시킨다.가령, 한 투수의 라인드라이브 대비 땅볼의 비율이 높다면, SIERA는 xFIP보다 낮을 것이다.
formula = 6.145 - 16.986*(SO/PA) + 11.434*(BB/PA) - 1.858*((GB-FB-PU)/PA) + 7.653*((SO/PA)^2) +/- 6.664*(((GB-FB-PU)/PA)^2) + 10.130*(SO/PA)*((GB-FB-PU)/PA) - 5.195*(BB/PA)*((GB-FB-PU)/PA)
-
Strikeout Rate(K%)
formula = 탈삼진 수 / 상대한 타자 수 -
Strikeouts Per Nine Innings(K/9)
9이닝당 탈삼진 수.
보통 구원투수의 경우 투구수 관리를 않고 전력투구를 하기에 선발투수의 K/9보다 높은 K/9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
Strikeout-to-walk Ratio(K/BB)
볼넷 대비 탈삼진 수 -
True Earned Run Average(tERA)
FIP와 비슷하게 투수가 통제할 수 없는 요소를 최소화한 지표이지만, SIERA처럼 인플레이 타구도 가중치를 매겨 계산에 포함시킨다. 땅볼, 내야 뜬공을 많이 기록한 투수, 즉 weak contact를 많이 유도한 투수는 FIP보다 tERA가 낮을 것이다. -
Walks Per Nine Innings(BB/9)
9이닝당 허용 볼넷 수 -
Walk Rate(BB%)
formula = 볼넷 수 / 상대한 타자 수
Statcast
-
Active Spin
공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회전을 일컫는 말이다. 패스트볼은 백스핀이 걸리는데, 백스핀은 중력에 반대로 작용하기에 공이 상대적으로 덜 떨어진다. 반면 커브볼은 탑스핀이 걸리고 중력 방향으로 굴절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떨어진다.여기서 파생된 것이 Active Spin Percentage이다. 이는 투구의 회전수 중 공의 움직임에 영향을 준 비율이다. 만약 액티브 스핀 비율이 100%라면, 공에 걸린 회전이 완벽한 탑스핀이거나 완벽한 백스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벌랜더의 패스트볼은 액티브 스핀 비율이 거의 100%에 육박한다.
-
xERA
‘기대 평균자책점’
xwOBA against
wxOBA가 낮을수록 즉, 타구의 질이 나쁠수록 xERA는 낮은 기록을 보입니다. ERA는 수비 영향을 많이 받는데 xERA는 수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단적인 예시로 블레이크 스넬은 2018년 xERA 3.06을 기록하였지만 ERA는 1.89를 기록하였습니다. 반대로 2019년에는 xERA 3.02를 기록하였지만 ERA는 4.29를 기록하였습니다. 탬파베이의 수비를 보면 2018년 팀 UZR은 8.9였던 데에 비해 2019년에는 -2.1로 크게 줄었습니다.스넬의 2018년과 2019년
-
2018 : ERA 1.89 xERA 3.06 팀 UZR 8.9 -
2019 : ERA 4.29 xERA 3.02 팀 UZR -2.1
-
-
Extension(EXT)
마운드에서 투수가 공을 놓는 지점까지의 거리. extension이 길수록 위력적. extension은 perceived velocity의 중요한 요소이다. -
Catcher Framing
포수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기 위해 하는 미트질. ‘shadow zone’이라고 부르는 스트라이크 존 안팎 공 한개 크기의 구역에서 스트라이크 콜을 받는지를 보는 것.Catcher Framing은 세 가지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 Strike rate: shadow zone에서 스트라이크 판정을 이끌어낸 비율. MLB평균은 48.1이다.
- Runs from Extra Strikes:
-
Velocity(VELO)
투수의 구속. statcast 이전에는 홈플레이트 기준 50피트 거리에서의 속도를 쟀는데, statcast의 도입으로서 투수의 release points에서의 속도를 정확히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정확한 최대 구속을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
Spin Rate(SR)
공의 회전수. Revolutions Per Minute(RPM)이라고도 부른다. 구속이 같은 패스트볼이더라도 높은 회전수가 걸릴수록 공이 덜 가라앉는다. -
Pre-Max
타자가 스윙 여부를 결정하는 Decision Making Point에서 두 구종 간의 거리. 연속 투구 터널링에서 쓰이는 스탯이다. -
Plate Dist
홈 플레이트에서 두 구종간의 거리 -
Plate:re-Max ratio
터널 포인트 이전 두 구종 간의 거리와 홈플레이트에서 두 구종 간의 거리의 비율